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미술치료 이론의 개념적모형-아들러 이론에 기초한 미술치료와 형제갈등(2)

정보의 신(新)/아동심리학

by 삼신러브유 2022. 7. 17. 00:42

본문

반응형

미술치료 이론의 개념적모형-아들러 이론에 기초한 미술치료와 형제갈등(2)

 

 

미술치료 이론의 개념적모형-아들러 이론에 기초한 미술치료와 형제갈등(1)

에 이어서 정리 합니다.

 

 

 

5. 생활양식

 



이는 아동기 초기에 형성되어 그 사람의 전 생애를 통하여 유지되는 것으로 아들러 이론의 핵심을 이룬다. 사람들은 자신에게 의미를 주는 삶의 목표를 추구하기 위해 각기 독특한 생활 양식을 발달시킨다. 아들러는 생활 양식이 특수한 열등성에 대한 보상으로서, 모든 사람은 생활양식을 갖지만 누구도 똑같은 유형을 갖지는 않는다고 보았다. 우월성을 추구하기 위해 어떤 사람은 지성을, 다른 사람은 예술적 재능을, 또 다른 사람은 운동적 재능을 추구할 것이다. 이 생활 양식은 자신과 세계에 대한 개인의 관점, 그리고 그의 독특한 목표를 추구하는 행동들로 구성된다.

 

 
아동은 커다란 세계에 대처하기 위하여 작은 자기를 도와주게 될 생활 양식, 즉 인지도를 만든다. 코사크는 생활양식의 확신을 다음의 네 가지로 분류하였다.  


① 자기 개념: 내가 누구인가에 대한 확신


② 자기 이상: 나는 어떤 사람이어야 하며, 어떤 위치를 차지해야 한다는 확신


③ 세계관: 자기가 아닌 것(세상, 사람들, 자연 등)과 세계가 나에게 요구하는 것에 대한 확신


④ 윤리적 확신: 개인적인 “옭고 그른 것”에 대한 규범
 
자기 개념에 대한 확신과 다른 확신들, 즉 자기 이상, 세계관, 윤리적 확신이 서로 일치하지 않을 때 사람들은 열등감을 갖는다. 같은 생활양식 내에서도 개인은 유용한 행동을 하거나 쓸모없는 행동을 할 수 있다. 

 



6. 열등감과 보상



개인 심리학이 형성되는 초기에 아들러는 신체적 열등감과 극복 보상(overcompensation)에 관심을 두었다. 그 자신이 신체적 열등감을 가졌던 경험이 있는 아들러는 신체 기관에 결함을 가진 사람들이 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대단히 노력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그 후에 아들러는 신체적 결함뿐 아니라 인생에서 경험하는 모든 불완전 감과 부족감에서 열등감이 생겨나는 것으로 개념을 확장하였다. 열등감은 완전성을 추구하려는 데서 생기며, 사람들은 열등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더 높은 목표를 향하여 노력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열등감을 異常 性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며, 모든 사람에게 더 발전하고자 하는 노력을 하게 만드는 추진력이 된다고 보았다. 코사크 역시 다양한 열등감은 그 자체로는 비정상이 아니며, 개인이 마치 열등한 사람처럼 행동하거나 증상을 보이거나 혹은 “아픈” 행동을 할 때, 즉 우리가 열등 복합이라고 부르는 눈에 띄는 행동으로 나타날 때 비로소 비정상적이라고 하였다.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열등감과 보상의 개념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들러는 열등 복합 이외에도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생활 양식에서 발전된 다양한 복합을 제시하였다. 아래에 제시된 이러한 복합들은 무용한 생활 양식으로서 개인의 생활과 대인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되며, 심리치료 등에 의하여 건설적인 방향으로 변화되지 않는 한 개인의 일상생활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① 열등 복합( inferiority complex): 사회적으로 유용한 방식으로 인생의 문제들을 해결하지 못한다고 느끼는 것


② 오이디푸스 복합(Oedipus complex): 응석받이로 자라서 어머니의 애정을 결코 단념하지 못하는 것


③ 증명 복합(proof complex): 오류를 범하는 것을 두려워하여, 다른 사람이 말하는 것은 무엇이든지 즉각적으로 증명하기를 요구함으로써 다른 사람들을 위협하는 것


④ 구세주 복합(redeemer complex): 다른 사람들이 가지고 있을지도 모르는 결함을 구원해주기 위해서 일생을 보내는 것


⑤ 팔자소관 복합(predestination complex): 자기에게는 어떤 일도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믿기 때문에 아무것도 두려워하지 않거나, 결국에는 모든 것이 마찬가지로 끝난다고 믿기 때문에 전혀 계획을 세우지 않는 것. 


⑥ 지도자 복합(leader complex): 자기 자신을 “선구자”라고 믿기 때문에 고집을 피우거나 허세를 부리는 것


⑦ 관망자 복합(spectator complex): 인생의 현장에 있고 싶기는 하지만 참여하거나 행동을 취하지는 않는 것


⑧ “거부”복합“(”no" complex):그들이 지닌 보수성과 두려움 때문에 모든 변화를 반대하여, 듣는 소리마다 반박하는 것

 



7. 가족 구도

 



가족 구도는 생활 양식의 중요한 결정 요인으로 성장기 아동의 일차적인 사회적 환경을 이룬다. 
아동에게 가장 중요한 것 중의 하나는 가족 구도 내에서 그가 차지하는 위치이다. 일반적으로 첫째 아이는 보수적이고 둘째 아이는 경쟁 지향적이다. 그러나 출생 순위나 서열상의 위치 등의 일반적인 특징으로만 가족 구도를 고려하는 것은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아들러 학파는 심리적인 위치의 관점에서 가족 구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예컨대, 열 살 차이가 나는 두 형제가 있다면, 이들은 각기 독자의 특징을 가질 수도 있다. 아들러 학파는 가족의 위치와 형제자매의 특성 간에 인과론적인 일 대 일의 관계가 있다고 인정하지 않으며, 어떤 관계이든 그 관계가 자리 잡고 있는 맥락 내에서만 이해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다시 말하자면, 한 개인의 가족 내에서의 위치를 알려면 그 가족의 분위기와 가족 구도 안에 있는 요인들의 전체 배열을 알아야만 한다는 것이다. 

 


각 아동은 자신에게 가치감을 줄 것으로 생각되는 속성이나 능력을 포함하는 하나의 “영토”를 차지하려고 애쓰게 된다. 만인 자신의 잠재성(능력, 용기, 자신감)에 대한 평가에서 이러한 자리를 차지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지게 되면 그는 생활의 유용한 측면을 추구하게 된다. 그러나 만일 이런 식으로 자리를 차지하려는 목표를 달성할 수 없을 것이라고 느끼면, 그는 낙담해서 왜곡된 방법으로 그 자리를 차지하려고 할 것이다. 아들러 학파에 부적응적인 아동은 병든 아동이라기보다는 낙담한 아동이다. 드라이 커 스(1948)는 낙담한 아동은 주의 획득, 권력 추구, 보복하기 및 결손이나 결함의 공언으로서 자신의 위치 확보를 위해 노력한다고 보았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